본문 바로가기

턱밑이 붓고 아픈 타석증, 원인부터 예방법까지 알아보기

Ililiiilliill 2025. 3. 26.

타석증은 침샘이나 침샘관에 돌이 생겨 침의 통로가 막히는 질환으로, 주로 턱밑 침샘에서 발생합니다. 음식 섭취 시 침샘 부위가 붓고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이 글에서는 타석증의 원인, 증상, 진단 방법, 치료법과 예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타석증이란?

타석증은 침을 생산하는 기관인 침샘(타액선)이나 침샘으로부터 입 안쪽으로 연결된 침샘관에 석회 물질, 이물질, 세균 등이 뭉쳐서 침의 통로를 막아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쉽게 말해 침샘에 돌이 생겨 침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 몸에는 귀밑샘(이하선), 턱밑샘(악하선), 혀밑샘(설하선)을 포함하는 세 쌍의 큰 침샘과 수많은 작은 침샘들이 분포해 있습니다. 이 중 타석증은 주로 턱밑 침샘인 악하선에서 약 75~80%로 가장 많이 발생하며, 귀밑 침샘인 이하선에서는 약 20% 정도 발생합니다. 그 밖에 다른 침샘에서는 약 5% 정도만 발생합니다.

타석증의 원인

타석증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 침의 정체: 침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정체되는 경우
  • 침샘관의 염증: 침샘관에 염증이 생겨 침의 흐름이 방해받는 경우
  • 침샘관의 손상: 외부 충격이나 질환으로 인해 침샘관이 손상된 경우

턱밑 침샘에서 타석증이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이곳이 귀밑 침샘에 비해 침의 정체 정도가 더 심하고 점액 함량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타석증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며, 특히 30~60세 연령대에서 많이 나타납니다. 이는 남성들이 수분 배출을 촉진하는 커피, 술 등의 음료를 많이 섭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타석증의 주요 증상

타석증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침샘 부위의 부종과 통증: 특히 음식을 먹기 시작할 때 침샘 부위(턱 밑 혹은 귀 앞)가 부어오르고 통증이 발생합니다.
  • 간헐적 증상: 시간이 지나면 대부분 부종과 통증이 저절로 가라앉습니다.
  • 신맛에 대한 반응: 레몬주스 같은 신 음식을 먹으면 통증이 더욱 심해집니다. 이는 신맛을 느끼면 침샘에서 침이 많이 분비되는데, 돌 때문에 관이 막혀 침이 잘 흘러나오지 못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 치아 통증과의 혼동: 타석증은 종종 아랫니가 아픈 것으로 착각할 수 있습니다.
  • 만성적 증상: 증상이 오래 반복되다 보면 타석증이 동반된 침샘이 딱딱하게 만져지기도 합니다.
  • 염증 동반: 세균 감염이 되면 침샘 주위로 염증이 파급되어 목이 심하게 붓기도 하며, 때로는 고름이 배출되기도 합니다.

타석증의 진단 방법

타석증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 시진과 촉진: 의사가 침샘 부위를 직접 보고 만져보며 통증과 부종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턱밑에 생긴 타석은 혀와 잇몸 사이를 양손으로 촉진하면 만져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 CT 촬영: 목 부분의 CT를 찍어서 뼈처럼 하얗게 보이는 타석이 있는지 관찰합니다. CT는 X-ray에서 보이지 않는 타석도 진단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 초음파 검사: 구강 초음파 검사를 통해 타석의 위치와 크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타석의 크기는 모래알 크기부터 수 cm까지 다양하며, 모양도 다양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찰이 필요합니다.

타석증의 치료 방법

타석증의 치료는 타석의 크기, 위치, 개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치료 방법은 크게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

  • 수분 섭취 증가: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여 침의 흐름을 촉진합니다.
  • 침샘 마사지: 침샘을 마사지하여 타석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돕습니다.
  • 신 음식 섭취: 과일이나 주스 등 신 음식을 많이 먹어 침 분비를 증가시키면 작은 타석이 밀려서 저절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 항생제 투여: 염증이 생긴 경우에는 항생제를 투여하여 염증을 억제합니다.
  • 타액분비촉진제: 침 분비를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합니다.
  • 열 치료: 열을 이용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합니다.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 경구강 타석제거술: 혀와 잇몸 사이인 구강저에서 잘 만져지는 타석은 국소 마취 후 구강 내를 절개하여 제거합니다.
  • 침샘 절제술: 타석이 침샘관 시작점이나 침샘 내부에 깊이 위치한 경우, 전신 마취 후 경부를 절개하여 침샘 절제술을 시행합니다.
  • 침샘 내시경 수술: 최근에는 침샘의 기능을 보존하면서 타석만 제거하는 침샘 내시경 수술도 시행되고 있습니다.

타석증의 예방법과 주의사항

타석증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평소에 카페인이나 알코올이 함유되지 않은 물을 충분히 마십니다.
  • 구강 위생 관리: 구강 위생을 철저히 관리하여 세균 감염을 예방합니다.
  • 정기적인 침 분비 촉진: 침이 자주 분비될 수 있도록 노력합니다.
  • 적절한 식사: 적당하게 식사하여 침의 점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합니다.

타석증이 의심될 경우 반드시 전문가에게 치료받아야 합니다. 타석증을 방치하면 침샘 전체에 염증이 생기거나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염증이 다른 곳으로 퍼져 주변의 치아 및 신경 손상, 농양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

타석증은 침샘이나 침샘관에 돌이 생겨 침의 통로가 막히는 질환으로, 주로 턱밑 침샘에서 발생합니다. 음식을 먹을 때 침샘 부위가 붓고 통증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신 음식을 먹으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타석증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침의 정체, 침샘관의 염증, 손상 등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진단은 시진과 촉진, CT 촬영,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료는 타석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비수술적 치료부터 수술적 치료까지 다양하게 적용됩니다.

타석증은 재발 가능성이 약 10% 정도 있으므로, 치료 후에도 충분한 수분 섭취와 구강 위생 관리 등 예방에 힘써야 합니다. 타석증이 의심되면 빠른 시일 내에 전문의를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타석증은 왜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나요?
A: 타석증은 30~60세 남성에게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남성들이 수분 배출을 촉진하는 커피, 술 등의 음료를 많이 섭취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으로 추정됩니다.

Q: 타석증의 재발률은 얼마나 되나요?
A: 타석증의 재발 가능성은 약 10% 정도입니다. 남아있는 타석으로 인한 재발은 평균 15개월 이내, 새로운 타석에 의한 재발은 약 4년 후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Q: 타석증을 방치하면 어떤 합병증이 생길 수 있나요?
A: 타석증을 방치하면 침샘 전체에 염증이 생기거나 극심한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염증이 다른 곳으로 퍼져 주변의 치아 및 신경 손상, 농양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Q: 타석증 예방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나요?
A: 충분한 수분 섭취, 구강 위생 관리, 정기적인 침 분비 촉진, 적절한 식사 등을 통해 타석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댓글